융합 전공이란?
- 2개 이상의 학부(과) 또는 전공이 융합하여 새로운 교과과정을 수립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 및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공 과정
소개 및 특성
- 제약바이오융합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제약, 바이오, 화학, 식품, 빅데이터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가지고 실제 제약회사에 적용 가능한 실습 경험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함. 그러므로 제약, 바이오, 화학, 식품,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배울 수 있는 융합전공을 운영하고 산업 수요에 맞는 직무 중심의 교과과정을 학생들에게 제공함.
교육목표
- 최근 산업적 수요 급증에 따라 정부가 정책적으로 집중·육성하고 있는 바이오헬스산업에 필요한 혁신 신약 인재 양성
- 명지대학교 특성화 영역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신약을 발굴, 개발하는 제약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기존 학과의 벽을 허무는 융복합적 교육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준비된 인재 양성
참여학과: 식품영양학과, 생명과학정보학과, 화학과, 화학공학과
교과과정: 총 53과목 (2024학년도 2학기 기준)
- 1전공 교과목
- 제약바이오융합 전문가로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얻는데 필요한 융합적인 전공 교과목
- 식품영양학과, 생명과학정보학과, 화학과, 화학공학과
- 2실험·실습 교과목
- 제약바이오융합 전문가에 필요한 현장맞춤형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실험·실습 교과목
진로 및 전망
- 제약회사(항생제 개발)
- 제약회사(바이오 의약품 개발)
- 제약회사(진단 기술 개발)
- 제약회사/식품회사(생물 소재 개발)
- 기타 산업체(제약회사, 화장품회사, 식품회사, 바이오 제약 벤처 등)
- 국가기관, 연구기관 등 기타 제약 관련 분야
학위명
- 소속 학과(부)의 졸업요건과 융합전공 이수요건을 모두 충족한 학생에게 해당 융합 전공 이수를 인정
- 소속 전공 학위를 주전공으로 기재하고 융합전공학위를 제2전공으로 기재.
- 학위명(영문명) 제약바이오학사 (Pharmaceutical & Bio)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