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1447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제목 작성자 RSS 2.0 총 15 건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2024 신규의약품·건강기능식품 개발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60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이 지난 2024년 12월 02일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차세대과학관에서 열린 '2024 신규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개발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 이 행사는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경진대회에는 총 29개 팀(73명)이 참가해 각자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표했으며, 명지대학교 화학과 문현희(22학번), 이규빈(22학번), 황다빈(22학번) 학생이 'GUDI-Cap Gut Diagnosis Capsule(캡슐 하나로 시작하는 건강혁신-장 건강 자가진단)' 주제로 대상을 생명과학정보학과 신영기(19학번) 학생이 '항균 펩타이드 기반 결핵 백신 증강제' 주제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이외에 우수상이 5팀, 장려상이 8팀이 수여되었다. 명지대학교는 이번 대회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약바이오 전문 인재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했으며, 참가자들의 아이디어와 열정을 높이 평가했다. 향후에도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실무 능력을 키우고, 제약바이오 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유전자 교정기술' 특별강연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60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단장 최신식)이 지난 2024년 11월 29일 금요일,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창조예술관 Y2446에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교정기술의 개발과 최신 연구 동향 특별강연을 개최했다. 강연자로는 강원대학교 화공 생물공학부의 장현기 교수가 초청되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의 개발 과정과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했다. 장 교수는 유전자 교정 기술의 실제 사례와 미래 가능성을 강조하며 학생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다. 행사에는 명지대학교 재학생 41명이 참석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제약바이오 연구의 실제 응용 사례를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강연 후에는 질의응답을 통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명지대학교는 이번 강연을 통해 학생들의 제약바이오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학문적 실무적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유한양행 합성신약공정팀 취업세미나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61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단장 최신식)이 지난 2024년 11월 14일 목요일,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창조예술관 Y2446에서 유한양행 연구소 소개 및 신약 개발 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이 열렸다. 이번 강연은 전공 학습 배경 지식과 산업계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마련되었다.강연자로는 유한양행 합성신약공정팀 이준섭 연구원이 초청되어 신약 개발 과정과 유한양행 연구소의 주요 연구 및 성과를 소개했다. 이 연구원은 산업 현장의 실제 사례와 신약 개발의 기술적 접근법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행사에는 명지대학교 재학생 44명이 참석하여 제약바이오 분야의 최신 동향과 진로 선택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얻는 유익한 시간을 가졌다.명지대학교는 이번 강연을 통해 학생들이 전공 분야의 실무적 이해를 넓히고, 제약바이오 산업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단일세포 수준에서의 비만 관련 연구 동향' 특별 강연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54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한국생물공학회 추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입상 작성자 김*연 조회수 100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이 지난 9월 27일(금)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2024 한국생물공학회 추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BB Jump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ump)에서 전원 입상했다. 한국생물공학회가 주관한 이번 경진대회는 창의적 종합설계 능력을 갖춘 생물공학 관련 인재 양성을 위해 개최되었다. 공모 주제는 생명공학 분야 자유 공모였으며, 참가대상은 생명공학 분야 대학생 3인 이상 팀으로 한정되었다. 명지대학교는 총 15명의 학부생이 ▲ Ah-CHO! 팀 (C. elegans의 표현형 분석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저비용 온도 및 광조절 플랫폼 개발) ▲ 디카페인 팀 (카페인에 의한 수면장애 개선 의약품 아이디어 - 체내 카페인 분해 촉진제) ▲ 생명과의 품격 팀 (피부 유전자 분석 기반 제품 추천) ▲ SUPER STARCH 팀 (혁신적 당뇨 관리 솔루션: 에스터화된 저항성 전분 의약품 개발) 총 4개 팀으로 참가했다. 더불어 Ah-CHO! 팀의 경우 금상을, 나머지 세 팀의 경우 동상을 수상하여 참가자 전원이 입상하는 쾌거를 보였다. 위 학생들은 교내 정책형특성화사업단인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본 대회에 선발되어 출전할 수 있었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전문가 심층 여름 강좌(Summer School)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64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단장 최신식)에서 지난 2024년 7월 16일부터 17일까지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창조예술관 Y2446에서 제약바이오 전문가 심층 여름 강좌(Summer School) 가 개최되었다. 이번 강좌는 재학생들에게 전공 학습의 배경지식과 산업계 최신 기술 동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이틀간 진행된 이번 캠프에는 명지대학교 재학생 174명이 참여했다. 첫날에는 (주)GVN 조영국 대표가 바이오 분야 동향과 전망 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으며, 이어 (주)테라젠바이오 김태형 상무가 유전체 연구 및 산업 트렌드 에 대해 발표했다. 둘째 날에는 LG화학 김한별 연구원이 신약 개발 과정과 제약회사의 업무 를, 연세대학교 조승우 교수가 오가노이드 최신 연구 동향 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참여 학생들은 강의를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의 최신 기술과 연구 흐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강연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진로와 연구 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재학생들이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폭넓은 지식과 소양을 갖추고, 변화하는 산업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큰 역할을 했다.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은 이번 강좌는 학생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핵심 트렌드를 이해하고,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중요한 계기였다며, 앞으로도 심층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첨단기자재 활용을 위한 실험·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56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단장 최신식)이 지난 2024년 4월 30일부터 6월 4일까지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에서 첨단기자재 활용을 위한 실험 실습 교육프로그램 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였다.이번 교육에서는 FE-SEM, XRD, NMR, AWS와 같은 첨단기자재를 활용한 실습이 이루어졌다. 교육에는 명지대학교 재학생 193명이 참여했으며,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이 병행되었다. 이론 교육에서는 제약 및 바이오 분야에서 사용되는 시료 전처리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내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심도 있는 강의가 이루어졌다. 실습 교육은 기기분석센터와 협업하여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은 10명씩 조를 이루어 각 프로그램별로 2회차씩 운영하였다.실습 과정은 기자재 활용을 위한 시료 전처리 및 제작, 첨단기자재(FE-SEM, XRD, NMR, AWS)를 활용한 시료 분석, 그리고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결과 도출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첨단기자재를 직접 다루며 시료 분석 및 데이터 처리 과정을 체계적으로 배우는 기회를 얻었다. 최신식 단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제약 및 바이오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질적인 기술을 익히고, 미래의 전문 인재로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실무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명지대학교가 제약바이오 분야의 첨단기술 활용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의 일환으로, 참가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2024 한국생물공학회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BB Jump 은상 수상 작성자 김*연 조회수 64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이 지난 4월 19일(금)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린 2024 한국생물공학회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BB Jump(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ump) 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한국생물공학회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4월 17일(수)부터 19일(금)까지 진행된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및 국제심포지엄 행사 내 프로그램의 일환이었으며, 창의적 종합설계 능력을 갖춘 생물공학 인재 양성을 위해 개최되었다. 명지대학교 측은 교내 정책형특성화사업단인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 사업단(단장 최신식) 프로그램을 통해 팀을 꾸려 본 대회에 출전했다.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다영(21학번), 주혜린(19학번), 최인혁(20학번) 학생으로 구성된 NPC(Nano Particle Club) 팀은 Zein Ceramide NP Agar Eco-friendly Film 라는 주제로 은상(한국생물공학회장상)을 수상했다. NPC팀은 마스크팩 시트지의 환경오염 및 미용성분의 낮은 피부 전달률을 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나노입자 제조 기술이 도입된 친환경 마스크팩을 제시했다. 이들 팀은 버려지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제인(zein) 단백질을 이용하여 나노입자(NP)를 생성했다. 이 단백질 나노입자를 운반체로 피부미용 성분인 세라마이드를 탑재하여 피부에 수분공급과 함께 생분해성을 가진 한천(agar)을 필름 소재를 사용해 친환경 zeincera film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한편, 명지대학교 측은 지속적인 교내 정책형특성화사업단의 운영을 통해 생물공학계열에 대한 지원을 향후에도 아끼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제약바이오 전공체험 및 연계전공 설명회 개최 작성자 김*연 조회수 51 등록일 2025.01.08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단장 최신식)이 지난 2024년 3월 21일 목요일,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차세대과학관 Y23218에서 제약바이오 전공 체험 및 연계전공 설명회 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제약바이오 연계전공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련되었다.설명회에는 명지대학교 재학생 34명이 참석했으며, 제약바이오 연계전공 참여 학과의 교수들이 강연자로 나서 전공 커리큘럼과 연계전공 이수 과정을 설명했다. 학생들은 전공 분야의 학문적 선행 체험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교수진과 소통하며 진로 비전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행사에서는 제약바이오 연계전공 이수 신청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성화사업단의 소개와 향후 계획이 안내되었으며, 연계전공 프로그램의 장점과 실제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명지대학교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학생들이 제약바이오 전공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연계전공을 통한 진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명지대 제약바이오융합특성화사업단, 제30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예쁜꼬마선충분과 학술발표회 참가 작성자 김*연 조회수 53 등록일 2025.01.07 첨부파일 첨부파일 명지대학교(총장 유병진) 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단장 최신식)이 지난 2024년 1월 22일부터 23일까지 이틀동안 KIST 강릉분원에서 열린 제30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예쁜꼬마선충분과 학술발표회에 참가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가 주최하며, 다양한 분야의 교수진과 연구원이 모여 최신 연구 동향과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였다.명지대학교에서는 재학생 10명과 교수 2명이 참석하여 제약바이오 분야의 최신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와 사업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를 가졌다. 특히, 학생들은 학술발표회에서 구두 발표와 포스터 발표를 통해 직접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이번 학술발표회에 참가한 명지대학교 관계자들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약바이오 연구 현황을 직접 확인하고, 관련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자리였다 며 학생들이 학술적 역량을 키우고 연구자로서의 시야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을 것 이라고 평가했다.제약바이오융합 특성화사업단은 앞으로도 학생들과 교수진이 최신 연구 동향을 접하고, 학술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처음 12 1 2 다음 페이지 끝